기업 연계 프로젝트 리뷰 시리즈의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컨택이 기업 연계 프로젝트의 시작이라면 미팅은 프로젝트의 마지막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미팅할 때 어떤 걸 준비하고 어떤 걸 신경썼는지 기록해보려고 합니다.
저희는 총 4번에 걸쳐 미팅을 진행하였습니다.
- 1차 미팅 : 분석 제안서 기반 PT 및 데이터 제공 계약서 작성
- 2차 미팅 : 관계자 변경으로 인한 분석 제안서 기반 PT(재)
- 3차 미팅 : 분석 결과 1차 공유
- 4차 미팅 : 분석 결과 최종 공유
1차 미팅
컨택 이후 처음으로 진행하는 미팅이었는데요, 저희가 보내드렸던 제안서를 기반으로 어떤 분석을 진행할지 설명드렸습니다. PT 이후에는 데이터 제공 협의 및 상호 질의응답을 진행하였습니다.
- 데이터 제공 협의 : 제공 가능한 데이터는 어떤 것인지
- 사전에 제공받길 희망하는 데이터 목록을 준비하였습니다.
- 기업 → 팀 : 어떤 분석 방법 및 툴을 사용할 것인지, 데이터는 어떤 식으로 제공하면 좋을지 등
- 팀 → 기업 : 현재 어떤 식으로 사용자 세그먼트를 나누고 있는지, 어떤 툴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보고 있는지, 수익모델이 어떻게 되는지, 이외 도메인에 대한 설명 요청(성수기와 비수기, 고객 특징 등)
이외에도 특별히 원하는 분석 내용이 있는지 등을 여쭤보았습니다.
2차 미팅
기업 내부 사정으로 관계자가 변경되어 제안서 기반 PT를 한 번 더 진행하였습니다. 데이터를 제공받은 이후였기 때문에 따로 데이터 제공에 대한 협의 과정은 거치지 않았고, 질의응답을 진행하였습니다.
- 기업 → 팀 : 데이터는 어떤 식으로 전달받았는지, 현재 진행 상황은 어떤지 등
- 팀 → 기업 : 컴퓨팅 자원에 대한 금전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관계자가 바뀌었기 때문에 특별히 원하는 분석 내용이 달라졌는지도 확인하였습니다.
3차 미팅
현재까지의 분석 결과와 향후 계획을 정리하여 PT 자료를 준비했습니다. PT 이후에는 상호 질의응답을 진행하였습니다.
- 기업 → 팀 : 분석 결과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데이터 전처리 시 어려웠던 점 등
- 팀 → 기업 : 도메인 지식을 활용한 분석 결과 설명 요청, 유저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기능은 어떤 것이 있는지 등
이날은 저희가 질문한 게 더 많았던 것 같아요. 전반적으로 기업의 데이터 문화에 대해서 파악하려는 질문을 많이 했고, 이날은 대표님도 참여하셔서 도메인에 대해 많이 알아갈 수 있었습니다.
반대로 기업에서는 데이터 관리의 측면에서 많이 질문하셨습니다. 분석가 입장에서 봤을 때 어려운 점은 어떤 것이 있는지, 데이터 품질은 어떤지 등을 주로 물어보셨어요.
4차 미팅 : 최종
최종 분석 결과를 정리하여 PT 자료를 준비했습니다. 3차 미팅과 가장 다른 점은 기술적인 내용을 다루는 방법이었습니다. 3차 미팅 때는 기술적인 내용을 최대한 자세히 준비했는데, 미팅에 참여하시는 분들이 전부 기술 관계자분은 아니셨어요. 최종 미팅 때 참여하시는 분들도 전부 기술 관계자는 아닐거라는 생각에 기술적인 내용을 최소화하였습니다.
대신 분석 결과로부터 얻은 인사이트와 데이터 적재, 관리, 품질 측면의 결론과 한계점을 보충하고, 대시보드 시연 영상을 추가하였습니다. 최종 미팅이었기 때문에 PT 자료 외에도 분석 결과로 산출된 엑셀 파일과 태블로 통합파일, 대시보드 시연 영상 등을 사전에 공유하였습니다.
최종 미팅은 질의응답 없이 끝났습니다.
4번에 걸쳐 미팅을 진행하며 데이터 문화가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기업의 데이터 문화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분석가가 맡아야 하는 롤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저희가 컨택한 기업은 데이터 분석가가 따로 없고, 데이터를 적재해둔 정도였기 때문에 데이터 관리와 품질 측면에서 저희에게 많은 질문을 하신 것 같아요.
'프로젝트 리뷰 > 팀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AZ] ADV 기업 연계 프로젝트 리뷰③ - 대시보드(Tableau) (0) | 2024.02.14 |
---|---|
[BOAZ] ADV 기업 연계 프로젝트 리뷰② - 추천시스템 (0) | 2024.02.10 |
[BOAZ] ADV 기업 연계 프로젝트 리뷰① - 컨택 (2) | 2024.02.07 |